심리학 (41) 썸네일형 리스트형 루시퍼 효과 사회심리학에는 일명 '스탠퍼드 교도소 실험'이라고 불리는 교과서적인 실험이 하나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필립 짐바르도 Philip Zimbardo는 이 실험을 통해 '사람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에 대해 답을 얻고자 했다. 1971년 짐바르도 교수는 24명의 평범한 대학생 참가자를 모집해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과 건물 지하실에 모의 교도소를 만들었다. 그는 24명의 피실험자를 두 팀으로 나누어 각각 교도관과 죄수의 역할을 맡긴 후 자신은 교도소장을 맡았다. 그리고 순조로운 실험을 위해 피실험자 모두에게 실험 중에 발생할지 모를 인권 침해에 대한 협의 서명을 받았다. 실험 초기에는 피실험자들이 어색해하며 역할에 몰입하지 못했다. 특히 죄수 역할을 맡은 학생들이 그러했다. 실험 당시 자유분방.. 엉덩방아 효과 미국의 심리학자인 앨리엇 애런슨 Elliot Aronson 은 한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줄거리가 비슷한 인터뷰 녹화 영상 4개를 각각 피실험자들에게 보여 주었다. 첫 번째 비디오의 인터뷰는 매우 우수하고 성공한 인사였다. 전체 인터뷰 과정에서 그의 태도는 매우 자연스러웠고 어휘도 고급스러웠으며 표현도 매우 자신감이 넘쳤다. 두 번째 비디오의 인터뷰도 매우 우수하고 성공한 인사였다. 그러나 그의 행동은 조금 부끄럽고 긴장한 듯 보였고, 그는 결국 책상 위의 커피잔을 넘어뜨렸다. 세 번째 비디오의 인터뷰는 매우 평범하고 우리와 비슷한 사람이었는데, 그는 긴장하지 않은 것처럼 보였지만 사람의 눈길을 끌 만한 발언도 없었고 어떤 포인트도 없었다. 네 번째 비디오의 인터뷰는 매우 평범했는데 인터뷰 과정 중.. 개변 효과 '개변 효과 Conversion Effect'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해럴드 시걸 Harold Sigall의 유명한 연구에서 유래되었다. 시걸은 세 그룹의 피실험자를 모집했다. 모두 어떤 주류 이론을 확고하게 지지하는 사람들이었다. 동시에 그는 세 그룹에 각각 경청자 역할을 하는 '가짜 피실험자'를 배치했다. 이어서 그는 세 그룹의 피실험자들에게 그들이 각자 믿고 있는 이론에 대해 진술해 보라고 했다. A조 피실험자가 진술하는 도중 경청자는 전 과정 내내 공감을 표했다. B조 피실험자가 진술하는 도중 경청자는 전 과정 내내 모든 관점에 반박했다. C조 피실험자가 진술하는 도중 경청자는 처음에는 반박했지만, 마지막엔 피실험자에게 설득당했다. 그 후 시걸은 세 그룹 피실험자들에게 경청자에 대한 인격 특성을 평.. 단순노출 효과 1960년대, 심리학자인 로버트 자이언스 Robert Zajonc는 여러 심리학 실험을 진행했는데, 그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자이언스는 한 중학교의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칠판 한구석에 도안, 영문 단어, 한자, 그림, 사람 그림, 기하학적인 도형, 기타 무의미한 기호들을 포함한 몇몇 이상한 부호들을 써놓았다. 이 부호들과 그림들은 칠판 구석에 계속 그려져 있었고 반 학생들은 매일 수업 때마다 이 그림들을 언뜻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그 의미를 알지 못했고 선생님 역시 알려 주지 않았다. 오랫동안 학생들은 이 부호들을 어떤 장식으로만 생각했다. 그러나 대부분 학생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이 이상한 부호와 그림들은 계속 규칙적으로 바뀌어 갔다. 어떤 기호는 단 한 번만 나.. 애런슨 효과 Aronson Effect 성과급이 줄면 일에 대한 태도는 점점 소극적으로 변하고, 성과급이 증가하면 일에 대한 태도가 점점 적극적으로 변하는 심리 현상을 사회 심리학에서는 '애런슨 효과 Aronson Effect'라고 한다. 통속적으로 말하면, 큰 표창부터 작은 칭찬까지 누군가 더 이상 칭찬하지 않으면 좌절감을 유발하고, 이러한 좌절감은 쉽게 불만과 반감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이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심리학자인 애런슨은 하나의 심리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피실험자 다섯 명을 선택해 그중 한 명에게 프로젝트 임시 책임자 자리를 맡게 하고 매번 실험하는 틈틈이 그에게 다른 피실험자에 대한 인상과 평가를 보고하게 했다. 모든 보고 과정은 애런슨의 사무실 안에서 이뤄졌고, 기타 피실험자들은 모두 보고 내용을 엿들을 수 있는 환경을.. 서로를 좋아하는 법칙 사람들은 종종 강아지가 사람들에게 가장 좋은 친구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강아지를 좋아할까? 이유는 아주 많다. 강아지는 충성심이 있고, 말을 잘 들으며, 영리하다. 하지만 강아지를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강아지는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그저 단순히 우리를 좋아하고 보기만 해도 꼬리를 흔들며 진심으로 기뻐하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에는 '서로 좋아하는 법칙'이 있다. 이는 사람은 언제나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이 사람이 아름답거나, 똑똑하거나 혹은 지위가 높은 것은 아니지만, 단지 그가 나를 좋아하기 때문에 나도 그를 좋아한다. 심리학자인 앨리엇 애런슨 Elliot Aronson은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실험을 진행했다. 한 조의 피실험자는 '무의식 중' 방금 자신과 .. 자존감 효과 '자존감 효과'는 심리학 권위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의 이론에서 유래되었다. 프로이트는 일찍이 "사람의 일생에서 가장 큰 욕구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성적 욕구고, 하나는 중요한 인물로 대우받고자 하는 자존감 욕구다."라고 말했다. 미국의 실용주의 철학자 존 듀이 John Dewey 역시 "자존감은 사람에게 가장 간절한 욕구다." 라고 말했다. 나중에 이 이론은 유명한 성공학의 대가 데일 카네기 Dale Carnegie에 의해 확대 발전되었고, '카네기의 대인관계 소통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카네기의 저서 에 나오는 이야기 하나가 있다. 1940년대 미국 경찰 총감독인 마로니는 특이한 현상 하나를 발견했다. 젊은 범인들이 체포 된 후 가장 먼저 요구하는 것이 변호사 접견이 .. 허위 합의 효과 1977년 스탠퍼드 대학교 사회심리학 교수인 리 로스 Lee Ross는 하나의 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그는 피실험자들에게 '조이 식당에 밥 먹으러 오세요.'라고 적힌 광고판을 몸에 걸고 캠퍼스 안을 돌아다닐 수 있는지 선택하게 했다. 로스가 선택한 피실험자 중 대략 절반이 광고판을 거는 것에 동의했고, 나머지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 후 로스는 동의한 피실험자와 동의하지 않은 피실험자에게 각각 다른 사람들이 광고판을 거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지 조사했고 동시에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도 조사했다. 그 후 그들의 선택과 동의하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눈에 띄는 속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광고판 거는 곳에 동의한 피실험자 중 62%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광고판을 거는데 동의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거절한 피실험자.. 미소 효과, 만디노 효과 미국의 작가 오그 만디노 Og Mandino 가 처음 제기한 '만디노 효과' 또는 '미소 효과'를 한마디로 말하면 '미소는 황금과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만디노는 미소는 세상에서 제일 아름다운 행위 언어로, 비록 소리는 없지만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미소는 인간관계에서 가장 좋은 윤활제이며, 두말할 것 없이 사람 간의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끌어당긴다. 만디노 효과는 초기에 인간관계의 법칙에서 제기되었으나 그 후 심리학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심리학 교수 제임스는 일련의 연구를 통해 하나의 관념을 제기했다. 사람이 웃을 때 전신 근육은 가장 느슨한 상태가 되고 심리 상태 역시 상대적으로 안정된다. 따라서 미소는 일종의 '가장 긍정적인 감정 표현 방식'이다.. 고정관념 '고정관념 Stereotype' 이란 하나의 심리학 관념으로, 주로 사람들이 어떤 사물에 대한 잘 변하지 않는 견해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을 과잉 일반화하여 이 사물에는 이런 특징만 있다고 단정하며 개개인의 차이를 소홀히 여기는 것이다. 심리학자들은 이와 관련해 하나의 실험을 진행했다. 두 조로 나눠 같은 사람의 사진을 따로따로 피실험자에게 보여 주었다. A조에게는 "이 사람은 범인이다."라고 말했고, B조에게는 "이 분은 대학교수다."라고 말했다. 그 후, 두조의 피실험자들에게 각각 이 사람의 사진을 보며 생김새의 특징을 평가하도록 했다. 그 결과, A조는 보편적으로 이렇게 생각했다. 이 사람의 눈이 움푹 들어간 것은 그가 흉악하고, 교활한 것을 보여주고 턱이 삐죽삐죽한 것은 그의 고집불통인 성..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