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기적 편향 오스트레일리아의 한 심리학자가 회사에 재직 중인 임원의 자아 인식을 조사했다. 그 결과, 90%의 임원이 자기 자신에 대한 성과평과를 다른 동료에 대한 평가보다 높게 측정했다. 그중 86%의 사람들은 자신의 사업 실적을 실제 평균보다 높게 평가했고, 오직 1%만이 평균보다 낮게 평가했다. 그 후, 심리학자는 자신의 보수와 능력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그들의 임금이 평균보다 높을 때는 당연히 받아야 하는 것으로 여겼다. 즉 그들의 노력, 뛰어난 성과에 대한 합당한 보답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그들의 임금이 평균보다 현저히 낮을 때는 자신들의 노력에 비해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그들 중 자신이 사실 남들보다 못하다는 현실을 태연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들은 모두 다른 원.. 미러링 효과 1902년 사회학자 찰스 호튼 쿨리(Charles Horton cooley는 '미러링 효과(Mirroring effect)'를 제기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아 관념은 타인과 교류하면서 형성되고 타인의 견해를 반영한다. 또한 자신에 관한 생각은 타인으로 인해 생기며 타인의 태도로 결정된다." 쿨리는 라는 책에서 유명한 비유를 들며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의 거울이고, 그들의 모습을 반영한다.'라고 했다. 이를 미러링 효과라고 한다. 말 그대로 미러링 효과는 우리가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처럼 '나'에 대한 자아 인식 또한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서 온다는 것이다. 사회심리학 이론에서는 '타인의 견해를 신경 쓰지 마라.' 라고 하지만 또 다른 시각으로 미러링 효과는 모든 사람의.. 이전 1 ··· 11 12 13 14 다음